대학원 > 학사 안내 > 기본 학사안내
수업연한 | 휴학기간 | 재학연한 | 수료이수학점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20학년도 2학기 입학생까지 (~2020학번) |
2021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(2021학번~) |
2020학년도 2학기 입학생까지 (~2020학번) |
2021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(2021학번~) |
|||
석사 | 2 | 2 | 6 | 4 | 교과학점:24 / 연구지도:8 |
교과학점:24 / 연구지도:8 |
박사 | 2 | 3 | 10 | 8 | 교과학점:36 / 연구지도:8 |
교과학점:30 / 연구지도:8 |
석·박사통합 | 4(3) | 3 | 12 | 10 | 교과학점:60 / 연구지도:16(12) |
교과학점:48 / 연구지도:16(12) |
*석박사통합 수업연한 단축신청
1학기 단축하고자 할 경우: 7학기 초 수업연한 단축신청기간에 포털로그인 통하여 인터넷 신청
2학기 단축하고자 할 경우: 6학기 초 수업연한 단축신청기간에 포털로그인 통하여 인터넷 신청
학기별 수강신청 가능 학점 | ||
---|---|---|
석사 | ~ 13학점(연구지도 별개) | *일반대학원 신입생 강좌 신입생들은 “GRA511-자연계분반” 필수 수강신청! (2021년 9월 시행세칙 개정사항 예고) |
박사 | ~ 13학점(연구지도 별개) | |
석·박사통합 | ~ 13학점(연구지도 별개) |
* 본 수업 이수 시 졸업요건인 연구윤리, 인권과 성평등 수강의무가 충족됩니다.(해당 교육은 졸업 전 1회 이수 필요)
* 본 수업 이수 시 장애인식개선, 안전교육 등 해당학기 이수의무가 충족됩니다.(해당 교육들은 매학기 또는 매년 이수 필요)
* 재학생들도 대학원 신입생강좌(GRA511-자연계분반)를 수강할 수 있음
전공학점 인정 범위 | ||
---|---|---|
2020학년도 2학기 입학생까지 (~2020학번) |
2021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(2021학번~) |
|
석사 | 6 | 6 |
박사 | 12 | 9 |
석·박사통합 | 18 | 15 |
*적용범위 ( 지도교수의 지도를 사전에 받을 것을 전제로 아래에 내용을 인정 함. )
1. 일반대학원 타학과 교과
2. 전문대학원 전공교과(학기당 최대 6학점까지 이수가능) *시행세칙21조7항
-> 2021-2학기 부터 “전문대학원” 전공교과 수강을 원할 경우, 수강신청 기간내에 “학점교류수강신청서”를 대학행정실로 제출 필요
3. 일반대학원에서 운영하는 일반공통교과(2021년 1학기 이수한 교과부터 인정)
4. 국제 동,하계대학 매칭교과
(주관부서: 국제처 국제교육팀 / 문의: isc@korea.ac.kr / 자세한 사항은 ISC홈페이지 참고 부탁드립니다 * https://isc.korea.ac.kr/all/src/regist/apply.php )
학번별 응시자격 | 시행시기 | ||
---|---|---|---|
2020학년도 2학기 입학생까지 (~2020학번) |
2021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(2021학번~) |
||
석사 | 18학점 이상취득, 평균평점 3.0이상 | 12학점 이상취득, 평균평점 3.0이상 | 전기: 4월(신청접수:3월중순) 후기: 10월(신청접수 9월중순) |
박사 | 27학점 이상취득, 평균평점 3.0이상 | 21학점 이상취득, 평균평점 3.0이상 | |
석·박사통합 | 45학점 이상취득, 평균평점 3.0이상 | 30학점 이상취득, 평균평점 3.0이상 |
(2014학번~2015학전 전기) |
환경복원생태공학 전공 : 기후변화적응계획과 생태공학특론 중에서 1과목 이상을 필수로 포함하고 상기의 서로 다른 전공(생물자원 및 생태학전공, 수질 및 토양환경학 전공, 생물재료공학 전공,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)에서 석사과정은 3과목, 박사과정은 4과목 응시 생물자원 및 생태학 전공 : 개체군 생태학, 야생식물 생태학, 생물지구화학, 환경독성학 중 석사과정은 3과목, 박사과정은 4 과목 응시 |
---|---|
종합시험 과목 (2015학번 후기~2020학번) |
종합시험 응시가능 교과목은 아래 18과목으로 한정하며 이 중 석사과정은 3과목, 석・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은 4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응시한다. – 개체군생태학, 생태계생태학특론, 보전생태학특론, 환경독성학, 토양환경학특론, 식물환경학특론, 수질환경학특론, 환경화학 특론, 환경생태조사 및 모델링, 환경생태계획특론, 생태조경설계론, 그린인프라계획론, 바이오매스특론, 분자환경미생물학, 균류학특론, 임산환경공학, 생태공학특론, 기후환경영향모델링 |
(2021학번~) |
종합시험 교과목은 아래 필수와 선택 교과목으로 한정하며, 필수 2과목 이상을 포함하여 석사과정은 3과목, 석·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은 4과목을 응시한다. 가) 필수 교과목: 환경화학특론, 생태학특론, 환경생태계획학특론, 환경데이터과학특론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