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부 > 융합전공 > 기후변화
인구증가, 과도한 산업화, 자원이용의 시공간 편중화 등은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고, 그로 인한 자연 및 사회 환경의 영향은 지구 및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. 특히, 각종 사회, 환경문제로 야기되는 지구온난화는 현재 우리가 풀어야 할 당면과제 중 가장 시급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. 현재 국내외적으로 요구되어지는 기후변화 관련 전문가는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 기작에 대한 자연과학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한 사회경제적 접근, 국제협상 및 협력 등에 대한 사회과학적 지식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여야 한다. 따라서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 기작과 영향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그의 해결을 위한 사회경제적 지식 및 국제협상력을 지닌 기후변화관련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데 본 기후변화 연계전공의 설립 취지를 두고 있다.
본 기후변화학과는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 기작과 영향에 대한 자연과학적인 지식과 그의 해결을 위한 사회경제적 지식 및 국제적 협상력을 지닌 기후변화 전문 글로벌 인재를 양상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.
본 기후변화 연계전공은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자연과학 및 사회과학이 다학제간으로 결합된 교육과정을 통해 지구 온난화 현상에 따른 환경 생태계 영향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종합적으로 강구할 수 있는 기후변화 전문인재를 양성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. 이를 위해 본 기후변화 연계전공에서는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 관련 자연과학적 교과목과 사회과학적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고 있다. 태계 후에는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관련 지니소 및 산업체 그리고 일반기업 및 정부기관의 환경관리 부서, 환경교육기관,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등에 취업할 수 있다.
융합전공 필수 2과목 (6학점)포함해서 36학점 이수
– 환경생태공학부의 재생에너지(LIET326)가 2022년 2월 28일에 폐지됨에 따라, 교과목록에서 삭제 함. (23-1개편사항)
– 환경생태공학부의 산림환경조성및경영학(LIET393)이 2020년 2월 29일에 폐지되었음을 인지하여 교과목록에서 삭제 함. (23-1개편사항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