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부Undergraduate

미생물융합 기술

1) 설립배경 및 개요

현재의 미생물학은 지구과학, 물리, 전자공학, 환경공학, 식품, 의료, 농업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모든 학문과 융합되어 연구되고, 응용되고 있다. 기존의 각 전공학부 기본전공과 심화전공에서는 체계적으로 다루지 않은 미생물 융합기술분야를 다양한 전공의 학부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각 학문에 걸쳐 존재하는 미생물학적 과학지식을 이해하고, 창의적 사고를 개발하는데 융합전공의 개설이 필수적이다.

2) 교육목적 및 목표

기초미생물학 분야 뿐만 아니라, 의약, 약학, 농학, 식품공학의 전통적인 미생물융합분야를 다루며, 지금까지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에서 다루지 않았던 다른 이학 및 공학 분야(물리학, 기계공학, 전자공학, 환경공학, 지구과학, 화학공학 등)등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미생물학 분야의 영역을 공부하고, 관련된 미생물융합 산업 분야를 소개한다.

3) 향후 진로

미생물융합기술전공을 기반으로 기초미생물뿐만 아니라 각 산업과 연계되는 융합미생물학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다양한 산업체 및 국가기관 분야에 진출할 수 있다.

4) 졸업요구조건

졸업을 위한 총 이수학점은 36학점으로 한다.
MICT201 미생물생지화학, GEST136 미생물과 미래융합기술을 “기초미생물의 이해” 영역으로 포함, 융합전공선택으로 이수구분 변경 (23-1개편)

*교육과정 이수규정

1) 융합전공학생의 최소이수학점은 36학점 이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.

2) 융합전공에서 이수한 교과목은 제1전공, 부전공, 복수전공, 핵심교양 교과목과 중복인정하지 않지만, 30학점을 초과하는 경우, 제1전공에 한하여 중복 인정된다.

3) 선택과목 중 미생물 융합기술의 기초가 되는 아래 2 과목의 수강을 권장한다

MICT201 미생물생지화학

GEST136 미생물과 미래융합기술

4) 선택과목 이수는 다음 영역별 이수규정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.

① “기초미생물의 이해” 영역에서 15학점 이상 이수

② “응용미생물의 이해” 영역에서 12학점 이상 이수

③ “융합미생물의 이해” 영역에서 9학점 이상 이수

 

5) 교과목록

학수번호 교 과 목 명 학점 구분 비고
MICT201 미생물생지화학 3(3)  <①> 영역 기초미생물의 이해 전공선택

(23-1개편)

GEST136 미생물과 미래융합기술 3(3)  <①> 영역 기초미생물의 이해
LIBT276 미생물생리학 3(3) <①> 영역 기초미생물의 이해 전공선택
LIET430 미생물생태학 3(3)
BSMS304 세균학 3(3)
LIST203 미생물학 I 3(3)
LIST204 미생물학 II 3(3)
LIST303 유전학 I 3(3)
LIST305 생화학 I 3(3)
LIST306 생화학 II 3(3)
LIET225 환경미생물학 3(3) <②> 영역 응용미생물의 이해 전공선택
LIET241 바이오매스이용학 3(3)
LIET324 자원순환공학 3(3)
LIET338 생물재료화학 3(4)
LIET382 응용미생물학 및 실험 3(3)
LIBT377 합성생물학 3(3)
LIBT389 극지생명공학 3(3)
ACEE219 환경화학 3(3)
LIBT371 미생물생명공학 I 3(3) <③> 영역 융합미생물의 이해 전공선택
LIBT382 미생물생명공학 II 및 실험 3(4)
LIBT474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에너지공학 3(3)
LIBT475 산업미생물학 3(3)
LIBT308 질병미생물학 3(3)
ACEE252 건설재료 및 실험 3(3)
ACEE290 신재생에너지기초 3(3)